건강정보

드림렌즈 체험기: 아이 근시 교정, 장단점과 관리 방법

ego-ref 2025. 9. 15. 15:51
반응형

1년 전, 학교 검진에서 딸아이의 시력이 좋지 않다는 결과를 받았습니다. 속눈썹이 눈을 찔러 자꾸 비비다 보니 상처도 생기고, 결국 안경을 처방받았지만 고민만 하다가 1년이 지나버렸습니다. 그러던 중 아이가 먼저 “드림렌즈를 해보자”고 제안했습니다.

 

목차

 

드림렌즈란 무엇인가?

드림렌즈(Orthokeratology, Ortho-K)는 수면 중 착용하는 특수 하드렌즈입니다. 자는 동안 각막을 살짝 눌러 굴절을 조정하여, 낮에는 안경이나 일반 렌즈 없이도 시력을 확보할 수 있는 교정법이죠. 특히 성장기 어린이와 청소년에게는 근시 진행 억제 효과가 크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안과 검진과 시력 결과

1년 만에 천안김안과(본점)를 다시 찾았습니다. 검진 결과, 시력은 0.1, 근시는 -3.0으로 1년 만에 거의 두 배 가까이 나빠졌습니다. 다행히 드림렌즈 권장 범위에는 속해 바로 진행할 수 있었고, 조금의 대기 시간 후 당일 체험이 가능했습니다.

드림렌즈 권장 범위

  • 근시 –4.00D ~ –5.00D 이하
  • 난시 –1.50D 이하
  • 어린이·청소년 → 근시 진행 억제 효과 큼
  • 성인 → 수술 부담이 있거나 안경·렌즈 착용이 어려운 경우

 

드림렌즈의 장점과 단점

장점

  • 낮 동안 안경·렌즈 필요 없음 → 활동 자유로움
  • 성장기 근시 진행 억제 효과
  • 비수술적 방법 → 원하면 언제든 중단 가능
  • 가역적 → 착용 중단 시 원래 시력으로 회복

단점

  • 수면 중 이물감, 초기 적응 필요
  • 빛 번짐(halo) 현상 → 야간 운전 불편
  • 위생 관리 필수 → 각막염·감염 위험
  • 매일 착용해야 효과 유지
  • 비용 부담(각 50만원 이상), 1~2년마다 교체 필요

 

착용 과정과 체험 후기

드림렌즈 센터에서 아이에게 맞는 렌즈를 찾아 여러 차례 착용·검사를 거쳤습니다. 시력이 1.0까지 나오는 것을 확인했고, 최종적으로 착용 및 제거 방법을 배우게 되었습니다. 아직 나이가 어려 부모가 반드시 관리를 해줘야 합니다. 

드림렌즈 착용 방법

 

드림렌즈 관리 방법

  • 손 위생 철저히 지키기
  • 렌즈 세척·소독 매일 꼼꼼히 하기
  • 보관액은 매일 교체
  • 정기적인 안과 검진 → 각막 건강 및 적합성 확인

체험용 파우치에는 식염수, 세척액, 보관액, 세면대 커버, 렌즈, 흡착봉 등이 포함되어 있었고 좌·우 구분이 철저히 되어 있었습니다. 드림렌즈는 철저한 위생 관리정기 검진이 필수입니다.

드림렌즈 선택 시 고려할 점

드림렌즈는 단순히 근시·난시 교정뿐 아니라 성장기 아이들의 시력 보호에도 효과적입니다. 하지만 비용·위생·적응 과정 등 고려해야 할 부분이 많으므로, 1주일간의 체험을 통해 알러지 반응이나 불편함이 없는지 꼭 확인해야 합니다. 이상이 없다면 정식 렌즈를 맞추고 꾸준히 관리하는 것이 좋습니다.

따라서 아이 시력 교정 방법을 고민 중이라면, 드림렌즈가 좋은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다만 무조건적인 선택보다는 안과 상담 + 체험 착용 후 결정하시길 추천드립니다.

 

 

드림렌즈  vs 라식/라섹 vs

구분 드림렌즈 라식/라섹 안경
원리 수면 중 하드렌즈로 각막 형태를 일시적으로 교정 → 낮 동안 시력 확보 레이저로 각막을 영구적으로 절삭/재형성 렌즈 굴절로 시력 보정
가역성 가역적 (렌즈 착용 중단 시 원래 시력으로 돌아감) 비가역적 (각막 절삭 후 되돌릴 수 없음) 가역적 (착용/탈착 자유)
적용
대상
- 성장기 어린이·청소년 (근시 진행 억제 효과)
- 성인 중 수술 부담 있는 경우
- 성인 (안구 성장 완료 후) - 일정 기준 충족 시 가능 전 연령 사용 가능
장점 - 낮 동안 안경·렌즈 필요 없음
- 성장기 근시 진행 억제 효과
- 수술 아님, 중단 가능
- 빠른 시력 교정
- 안경·렌즈 없이 장기간 생활 가능
- 안전하고 간단
- 비용 저렴
단점 - 초기 적응 필요 (이물감)
- 매일 착용 필요
- 위생 관리 필수 (감염 위험)
- 비용 高, 1~2년마다 교체
- 수술 부작용 가능 (안구 건조, 야간 빛 번짐)
- 고비용
- 회복 기간 필요
- 운동·활동 시 불편
- 외관상 부담
- 근시 진행 억제 효과 없음
비용 초기 150~200만원대, 주기적 교체 비용 추가 수술 100~300만원 (1회성) 수십만원 수준
효과
지속성
렌즈 착용 중에만 효과 → 중단 시 원래 시력으로 복귀 장기적 (수술 효과 지속) 착용 시에만 시력 교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