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암은 조기 발견과 정기 검진이 생존율에 큰 영향을 미치는 암입니다. 하지만 많은 환자들이 직장암검사 과정에서 어떤 수치가 중요한지, 그리고 그 수치가 의미하는 바를 잘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직장암 진단과 추적검사에서 반드시 확인해야 할 종양표지자 수치와 혈액·기능검사 수치를 자세히 소개합니다.
1. CEA수치(Carcinoembryonic Antigen,암태아성항원)
CEA수치는 직장암검사에서 가장 대표적인 종양표지자입니다. 암세포가 생성하는 단백질로 혈액검사에서 확인 가능하며, 대장암·직장암 환자의 치료효과와 재발 가능성을 평가하는 데 핵심적인 지표입니다.
- 의미: 대표적인 대장·직장암 종양표지자. 암세포가 분비하는 단백질로, 혈액에서 검출 가능.
- 정상 기준치
- 비흡연자: 0~3 ng/mL
- 흡연자: 0~5 ng/mL
- 해석
- 기준치를 초과하면 직장암, 대장암, 췌장암, 폐암 등 가능성이 높아짐.
- 단, 염증성 장질환, 간질환, 흡연 등에서도 상승할 수 있으므로 단독 진단은 불가.
- 활용
- 수술 전·후 수치 비교로 치료 효과 판단.
- 추적검사로 재발 조기 발견 가능.
💡 TIP: 수술 후 CEA 수치가 정상으로 떨어졌다가 다시 상승하면 재발 가능성이 높으므로, 정기적인 측정이 필수입니다.
2. CA19-9
CA19-9는 주로 췌장암,담도암에서 많이 활용되지만 일부 직장암환자에서도 상승할 수 있는 보조 표지자입니다.
- 의미: 주로 췌장암·담도암에서 활용되지만, 일부 직장암 환자에서도 상승.
- 정상 기준치: 0~37 U/mL
- 해석:
- 수치 상승이 반드시 암을 의미하지 않지만, CEA와 함께 보면 예후 판단에 도움.
3. 혈액일반검사( (CBC, Complete Blood Count)
CBC검사는 전신 건강상태를 파악하고 빈혈 여부를 확인하는 기본 검사입니다. 직장암환자의 경우 만성출혈로 인해 헤모글로빈(Hb)이 낮게 나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정상 Hb수치는 13~16g/dL입니다. 백혈구(WBC)는 4,000~10,000/µL가 정상이며, 혈소판(PLT)은 150,000~450,000/µL가 정상입니다. 항암치료 중 혈소판 감소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의미: 전신 건강 상태와 빈혈 여부를 평가.
- 중요 수치
- Hb(헤모글로빈): 정상 13~16 g/dL
→ 직장암 환자는 만성 출혈로 빈혈이 흔함. - WBC(백혈구): 4,000~10,000/µL
→ 감염 여부 판단. - PLT(혈소판): 150,000~450,000/µL
→ 항암치료 중 혈소판 감소 여부 확인.
- Hb(헤모글로빈): 정상 13~16 g/dL
4. 간기능검사(LFTs)
직장암은 간으로 전이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간기능검사는 필수입니다. AST(GOT),ALT(GPT) 정상치는 0~40U/L이며, 간세포 손상 시 상승합니다. ALP는 30~120U/L가 정상이며, 간담도계 이상이나 전이 시 상승할 수 있습니다. 빌리루빈은 0.3~1.2mg/dL가 정상입니다.
- 의미: 직장암이 간으로 전이되었는지 평가하는 데 도움.
- 중요 수치
- AST(GOT), ALT(GPT): 정상 0~40 U/L
→ 간세포 손상 시 상승. - ALP: 30~120 U/L
→ 간·담도계 이상이나 전이 시 증가 가능. - 빌리루빈: 0.3~1.2 mg/dL
- AST(GOT), ALT(GPT): 정상 0~40 U/L
5. 신장기능검사
항암제 중 일부는 신장 기능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치료 전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크레아티닌(Creatinine) 정상치는0.6~1.1mg/dL입니다. BUN은 7~20mg/dL가 정상입니다.
- 의미: 항암제(특히 5-FU, 옥살리플라틴) 투여 전 신장 상태 평가.
- 중요 수치
- Creatinine: 0.6~1.1 mg/dL
- BUN: 7~20 mg/dL
6. CRP(C-Reactive Protein)
CRP는 염증반응을 나타내는 수치입니다. 정상범위는 0~0.5mg/dL이며, 수술 후 감염, 염증, 종양 활성 시 상승합니다. 암 재발 시에도 상승하는 경우가 있어 추적검사에 참고됩니다.
- 의미: 염증 반응 수치.
- 정상: 0~0.5 mg/dL
- 수술 후 염증, 감염, 종양 활성 시 상승.
7. 분변잠혈검사(FOBT, Fecal Occult Blood Test)
분변잠혈검사는 대변 속의 미량 혈액을 확인하는 검사로, 직장암검진의 1차 선별도구입니다. 결과가 양성일 경우 대장내시경 검사가 필요합니다. 우리나라 국가암검진사업에서는 50세 이상 성인에게 매년 무료로 시행됩니다.
- 의미: 대변 속 미량의 혈액을 검사.
- 결과
- 음성: 정상 가능성 높음.
- 양성: 대장내시경 필요.
- 국가암검진에서 50세 이상 매년 무료로 시행.
8. 유전자검사
KRAS, NRAS, BRAF 등의 유전자 변이 검사는 표적항암제 사용 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중요한 절차입니다. MSI-H, dMMR 여부는 면역항암제 투여 적합성 판단에 활용됩니다.
- KRAS, NRAS, BRAF 변이: 표적치료제 사용 가능 여부 결정.
- MSI-H, dMMR: 면역항암제 치료 적합성 판단.
[직장암검사 필수 수치 ]
CEA | 0~5.74ng/mL | 직장암 대표 종양표지자 |
CA19-9 | 0~37U/mL | 보조 표지자 |
Hb | 13~16g/dL | 빈혈 여부 |
WBC | 4,000~10,000/µL | 감염·면역 상태 |
PLT | 150,000~450,000/µL | 출혈 위험 |
AST/ALT | 0~40U/L | 간 기능 평가 |
Creatinine | 0.6~1.1mg/dL | 신장 기능 평가 |
CRP | 0~0.5mg/dL | 염증·종양 활성 |
FOBT | 음성 | 대장출혈 여부 |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장암 항암치료 FOLFOX, FOLFIRI, CAPOX 요법 (2) | 2025.08.18 |
---|---|
직장암 폐 전이, 꼭 알아야 할 증상·진단·치료 방법 (2) | 2025.08.17 |
국가지원 암검진 제도 (4) | 2025.08.14 |
직장암 정기검진과 예방 방법 (2) | 2025.08.14 |
직장암과 정신 건강 (2) | 2025.08.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