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정보

직장암의 치료방법

ego-ref 2025. 8. 8. 12:52
반응형

목차

  1. 수술 치료: 병기별 수술법
  2. 방사선 치료: 보조치료의 핵심
  3. 항암 화학요법: 정밀한 약물 전략
  4. 표적 치료 & 면역 치료: 최신 치료법
  5. 다학제적 접근(MDT): 팀 치료의 중요성
  6. 치료 후 추적관리 & 예후
  7. 결론

 

1. 수술 치료: 병기별 맞춤 절제

조기 병기(0기~1기)의 직장암은 수술만으로도 충분히 치료가 가능합니다. 수술 방식에는 암을 제거한 뒤 장을 다시 연결하는 전통적인 절제술(colectomy)이 있고, 경우에 따라 인공항문(장루 colostomy)을 만드는 경우도 있습니다. 최근에는 복강경 수술 또는 로봇 수술 등 최소침습 수술이 활발히 도입되어 회복 기간과 환자의 삶의 질 측면에서 유리합니다.

  • 저위전방절제술 (LAR)
    상부 직장암에서 항문 기능을 유지하며 절제하는 방법
  • 복회음절제술 (APR)
    항문 근처 암의 경우 항문까지 포함 절제하고 인공장루 생성
  • 국소절제술
    초기에 국소 병변만 제거하는 최소 침습 접근법

 

2. 방사선 치료: 수술 전후 활용

직장암, 특히 국소 진행성 병기에서는 수술 전후에 방사선 치료를 적용할 수 있습니다. 방사선은 암의 크기를 줄이거나 재발을 방지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외부 방사선 외에도, 방사성 물질을 직접 종양 부위에 삽입하는 내부 방사선 치료법도 존재합니다.

  • 수술 전 방사선 치료 (nCRT)
    종양 크기를 축소해 절제 범위를 줄이고 재발률을 낮춤
  • 수술 후 방사선 치료
    절제 경계가 불확실하거나 림프절 전이 위험이 높은 경우 시행

 

3. 항암 화학요법: 단계별 활용

화학요법은 전신에 약물을 투여해 암세포를 파괴하거나 성장 억제하는 치료법입니다. 수술 후 암 재발 위험이 높은 경우 보조적(adjuvant) 화학요법으로 3~6개월 정도 시행합니다. 대표적인 약물에는 5-플루오로유라실(5-FU), 옥살리플라틴, 이리노테칸 등이 포함되며, FOLFOX 또는 CAPEOX와 같은 복합요법이 자주 사용됩니다

  • 5-FU, 카페시타빈 중심 요법: 보조 항암이나 수술 전후 사용
  • FOLFOX 등 복합요법: 스테이지 II~III에서 자주 적용됨
  • 전신 치료 (Stage IV): 5-FU 계열, 이리노테칸, 옥살리플라틴 등 다양한 약제 조합

항암화학요법
출처: Bowel Cancer UK

4. 표적 치료 & 면역치료: 개인 맞춤형 전략

표적 치료는 암세포의 특정 분자 또는 경로를 겨냥하여 공격하는 방식입니다. 생체표지자 검사를 통해 환자에게 맞는 약물을 선택하며, 베바시주맙, 세툭시맙, 파니투무맙 등 다양한 약물이 사용됩니다. 특히 전이암이나 화학요법 실패 시 보조적인 치료 옵션으로 유용합니다.

 

면역치료는 인체 면역 시스템을 활성화하여 암세포를 제거하는 신개념 치료입니다. 대표적으로 펨브롤리주맙, 니볼루맙, 이필리무맙 등의 면역관문억제제가 사용됩니다. 특히 불일치 수복결손(dMMR) 또는 마이크로새틀라이트 불안정성(MSI-high) 암에서 높은 효과를 보입니다.

최근 연구에서는 도스타를리맙(dostarlimab)이라는 면역치료제가 dMMR 직장암 환자에서 종양이 완전히 사라지는 놀라운 결과를 보였으며, 일부 환자에겐 수술이나 방사선, 화학요법이 불필요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했습니다.

  • 표적 치료
    • EGFR 억제제 (KRAS 변이 없는 경우 사용)
    • VEGF 억제제 (혈관 신생 억제)
  • 면역치료
    • MSI-H/dMMR 직장암 환자에게 사용 가능한 면역관문억제제 (예: 펨브롤리주맙, 니볼루맙)
  • 기타 치료
    • 고주파 열치료(RFA), 색전술(emoblization) 등은 전이된 간이나 폐에 국한된 작은 종양을 제거하거나 증상을 완화하는 데 쓰입니다.
    • 완화적 치료(Palliative Care)는 진행된 암에서 삶의 질 개선을 주요 목적으로 하며, 통증, 출혈, 장 폐쇄 등의 증상 조절에 중점을 둡니다.
    • 계속되는 임상시험은 새로운 치료법(예: 신약, 세포 치료 등)을 제공하며, 환자에게 새로운 희망이 될 수 있습니다
[병기 및 상황주요 치료 방법]

 

초기 병기 (0기~1기) 수술 단독 또는 보조적 화학요법
국소 진행성 직장암 수술 + 방사선 + 화학요법
전이성 또는 고위험 병기 수술, 화학요법, 표적치료, 면역치료, 고주파 및 간 치료 등 복합 사용 가능
dMMR 직장암 (면역예후 좋은 환자군) 면역치료만으로도 종양 소실 가능성 있음
진행된 병기 / 증상 완화가 필요한 경우 완화적 치료 (증상 관리 중심)
또는 새 치료법을 찾는 경우 임상시험 참여 고려
 

 

5. 다학제적 접근 (MDT): 팀 기반 치료 설계

외과, 방사선종양학과, 종양내과, 병리과, 영상의학과 전문가가 함께 환자의 특성에 맞는 치료 전략을 논의하는 팀 기반 치료 시스템은 재발률을 낮추고 예후를 개선합니다.

 

6. 치료 후 추적 관리 및 예후

  • 정기 추적 검사: CEA, 영상검사 등을 통해 재발 조기 발견 유도
  • 삶의 질 관리: 운동, 식습관 개선, 정신 건강까지 고려한 통합적 돌봄이 중요합니다.

 

결론: 환자 중심의 통합적 치료가 생존률을 결정합니다

직장암 치료는 암 자체만이 아닌 환자의 삶을 고려한 결정이 되어야 합니다. 다양한 치료법을 병합한 통합적 다학제 치료 접근이 생존성과 삶의 질 개선을 모두 가능케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