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정보

직장암 항암요법(한국기준)

ego-ref 2025. 8. 8. 14:18
반응형

1. 수술 전 보조 항암화학방사선요법 (Neoadjuvant CCRT)

1) 대상

  • T3 이상 직장암
  • 림프절 전이 가능성이 높은 경우

2) 치료 방법

  • 방사선 치료 + 5-FU(플루오로우라실) 정맥주입
  • 일부 병원에서는 경구용 카페시타빈으로 대체 가능

3) 치료 목적

  • 종양 크기 축소
  • 병기 하향(down-staging)
  • 항문 보존 가능성 향상

 

2. 수술 후 보조 항암요법 (adjuvant Chemotherapy)

1) 대상

  • 2기 고위험 직장암 (림프혈관 침범, 종양 크기 큼 등)
  • 3기 직장암 (림프절 전이 확인된 경우)

2) 치료 방법

  • FOLFOX 요법: 5-FU + 류코보린(Leucovorin) + 옥살리플라틴(Oxaliplatin)
  • 6개월~8개월간 주기적으로 시행

3) 치료 효과

  • 재발률 감소
  • 무병 생존 기간 연장

 

3. 전이성(4기) 직장암의 항암요법

1) 1차 요법

  • 5-FU 기반 화학요법 + 표적치료제
  • 표적치료제 종류
    • 베바시주맙(Bevacizumab): 혈관 신생 억제
    • 세툭시맙(Cetuximab): EGFR 억제 (RAS 변이 음성 환자)

2) 2차 요법

  • 1차 치료 실패 시 이리노테칸(Irinotecan) 기반 요법
  • 생존 기간 연장 및 증상 완화

 

4. 맞춤형 치료 – 분자 표적치료와 면역치료

1) MSI-H / dMMR 환자

  • DNA 복구 결함이 있는 경우
  • 펨브롤리주맙(Pembrolizumab) 같은 면역관문억제제 사용
  • 장기적인 완전 반응 사례 보고됨

2) 치료 장점

  • 부작용이 비교적 적음
  • 일부 환자에서 장기 생존 가능

 

5. 한국 기준 직장암 항암요법 표

[단계대상 환자권장 요법]
수술 전 T3 이상, N 양성 CCRT (방사선 + 5-FU)
수술 후 2기 고위험, 3기 FOLFOX
전이성 1차 Stage IV 5-FU + 표적치료
전이성 2차 1차 실패 이리노테칸 기반 요법
맞춤형 MSI-H/dMMR 면역관문억제제

 

직장암 치료과정
출처: Vecteezy

 

반응형